시장의 전반적인 약세장을 처음 맞이 한 비트코인의 가격의 급락이 심상치 않다.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유니콘 기업 회장님과 올해 5월 초에 식사하면서 비트코인이 왜 오를 수 밖에 없는가에 대해 긴 연설을 들은 적이 있었는데, 그 이후 가격은 실로 절망적이라 할 정도로 하락을 하고 있다. 유니콘 기업의 회장님 정도라면 재계와 금융계에 내로라는 전문가의 조언을 기반으로 다져진 지식이고 전망 일텐데도 비트코인의 약세장은 그런 전문가들도 어쩔 수 없는 것인가 생각하니 괜히 위축이 되는 건 어쩔 수 없나 보다.
전무가들 사이에서도 앞으로의 가상화폐 시장에 대해 가상화폐 초창기 대두 되었던 갑론을박이 다시대두가 되고 있는 지금, 초심으로 돌아 가서 블록체인 기술의 가상화폐, 특히 비트코인에 대해 검토 하고 앞으로의 전망에 조금이나마 근거를 가지고 접근 하고자 글을 쓴다.
블록체인 비트코인 정의
- 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9쪽짜리 논문을 통해 소개되었다.
- 최초 발행일 l 2009년 1월
-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등장에 대한 정당화
- 각 국가의 중앙은행에 대한 독점과 신뢰 문제 지적
- 기존 기득권의 금융시장에 대한 비판
- 정부 주도가 아닌 개인간(P2P) 거래이며 블론체인 기술 기반으로 해킹과 보안에 안전함
- 제한된 통화량(2100만개)으로 기존 중앙정부 주도로 화폐를 발행함으로써 화폐의 가치를 떨어 뜨리거나 조작이 불가능함.
- 향후 100년간 발행될 화폐량 2100만개만 발행
- 1BTC=100,000,000사토시이며, 2100만개 BTC의 경우 2100조 사토시로 유통될 수 있다.
- 비트코인의 세부 단위
- 1BTC (비트코인)
- 1cBTC(센티코인) = 0.01BTC
- 1mBTC(밀리코인) = 0.000001BTC
- 1uBTC(마이크로코인/비트) = 0.000001BTC
- 1satoshi(사토시) = 0.00000001BTC
비트코인 거래소
비트코인을 거래하는 한국 대표 거래소는 아래와 같다.
- 업비트, 빗썸, 코인원
아래 도표는 22년7월18일 기준 비트코인 시세
비트코인 채굴 ?
가상화폐의 경우 일반 화폐와 다르게 특정 국가나 특정 단체에서 무한정 찍어내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를 이용해 블록의 이름을 16진수로 표시한 64 자리의 해시 함수를 찾아내는 사람에게 발행하는 시스템이다. 이렇게 발행되는 비트코인을 채굴이라고 한다. 더 많은 컴퓨터가 문제를 풀게되면 난이도도 같은 비율로 높아지면서 보안성이 더 강화되게 된다.
- 반감기
- 비트코인은 4년마다 절발씩 줄어들고, 총 2100만개 비트코인이 모두 채굴되는 시점은 이론적으로 2140년이 될 것으로 본다.
- 2022년 1월 23일 기준, 현재 비트코인의 채굴양은 18,937,775개이고 90%가 채굴이 된 상태이다.
왜 비트코인 투자 가격을 예측하기 위해 반감기가 중요한가 ?
지난 10년간 비트코인 가격 변화를 들여다 볼 경우, 반감기 마다 가격이 급등한 것을 볼 수 있다. 매 반감기 마다 비트코인 발행량이 반으로 줄어 드는 시스템이다 보니 희소성에서 가격은 오르게 되고 반감기 마다 급 상승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 최초 비트코인 생성 l 2009년 1월 3일
- 첫 번째 반감기 l 2012년 11월 28일
- 두 번째 반감기 l 2016년 7월 10일
- 세 번째 반감기 l 2020년 5월 12일
- 네 번째 반감기 l 2024년 5월 예상
반감기로 볼 때 비트코인 투자 예상
비트코인을 투자 할 땐 주식시장과 마찬가지로 국제정세,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의 가변 요소를 변수에 넣고 고민을 해야 한다. 하지만, 주식을 이평선 차트나 일목균형표등의 차트를 분석해서 중.장기적인 투자를 하는 투자자도 많고, 오히려 실적 위주의 개별 종목 분석을 통한 투자 보다 개인투자자 입장에선 더 효율적인 방법인 경우가 많다.
그러면, 비트코인을 차트로 분석해서 투자 방법과 시점을 예측해 보면 어떻게 될까?
차트 분석으로 놓고 보면 반감기 차트라고 할 수 있겠다.
반감기 차트를 분석해 볼 때, 현재 시점에서 세 번째 반감기가 끝이 나고 네 번째 반감기로 진행하고 있는 시점이다.
각 반감기 마다 비트코인 가격은 상당한 상승을 보였는데, 단순히 이런 비율로 네 번째 가격을 예상 한다면(다른 변수 감안 하지 않음/오직 반감기 상승율만 고려) 네 번째 반감기 이후 상승장의 꼭지점은 이론적으로 3억까지도 갈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이전 반감기 상승율, 즉 비트코인의 희소성만 놓고 본 것이고 다른 변수도 따져 봐야 하는 것이라 억측일 수 있다.
반감기 상승율이 이전과 같은 패턴으로 네 번째 반감기 이후 온다고 믿는다면, 당연히 2024년 5월 전.후로 비트코인에 투자를 하는 것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비트코인 투자를 하지 않았고,관심은 있어 개인의 포트폴리오에 5% 정도만 해 보고 싶다는 투자자가 있다면, 이런 데이타를 참고해서 이전에 비트코인의 대박을 놓친 것을 네 번째 반감기 이후를 노려 보는 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지원금 사업, 수출새싹기업지원사업 신청해서 해외 수출 비용 지원 받기 (0) | 2022.07.12 |
---|